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정책연구원이 2003년부터 2009년까지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 ADHD(주의력결핍 과다행동장애) 진료실 인원은 2003년 1만 8,967명에서 2009년 6만 4,066명으로 6년만에 238%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연령별로 보면 2003년 전체 환자 1만 8,967명 중 5~9세가 1만 368명으로 54.7%점유해 가장 많았으나 2009년에는 전체 6만 4,066명 중 10~14세가 2만 2,068명으로 46.3%를 차지해 빈발하는 환자 연령층이 바뀌었다. 2003년 대비 2009년 진료실인원 추세를 연령대별로 보면, 0~4세는 감소하고 5~9세는 113%증가, 10~14세는 376%증가, 15~19세는 766%증가해 환자의 연령대가 점점 높아지고 있다.
‘ADHD(F90.0~F90.9)’ 의 인구 10만명당 실진료환자수는 2003년 대비 2009년 3.6배 (40.3명→ 131.8명, 연평균 증가율 21.8%) 증가했다. 성별 실진료환자는 매년 남자가 여성보다 4배 정도 많았으며, 최근 7년간(2003년-2009년) 성별 실진료환자의 증가속도는 남성은 3.4배(1만 5,492명→5만 1,687명), 여성은 3.6배(3,475명→1만 2,379명)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2009년 기준으로 ‘ADHD’ 실진료환자수의 구성을 살펴보면 10~14세 남자가 2만 4,358명으로 38.0%를 차지했고, 5~9세 남자가 28.4%(1만 8,188명), 15~19세 남자가 12.0%(7,682명)으로 5~19세 연령대 남자 실진료환자수가 전체환자의 78.4%를 점유한 것으로 파악됐다.
’ADHD'진료에 의한 인한 건강보험 진료비는 2003년 44억원에서 2005년 111억원, 2009년 328억원으로 나타났고, 2009년 ’ADHD‘ 건강보험 진료비는 2003년 대비 641.6% 상승했다.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정신과 전문의 김영기 교수는 ‘ADHD’ 증상 및 관리요령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주요증상
- 과잉행동
- 항상 가만히 있지를 않고, 마치 모터가 달린 것 같으며, 지나치게 기어오르고, 가만히 앉아있지를 않는다.
- 주의산만함
- 귀 기울여 듣지를 않고, 끝맺음을 잘 못하며, 쉽게 산만해지고, 물건을 잘 잃어버리며, 집중하지 않는다.
- 충동성
- 일을 끝내지도 않고 다른 일을 벌이거나, 지시를 끝까지 기다리지 않고 성급히 반응하고, 부주의한 실수가 많으며, 불필요한 위험한 행동을 하거나, 순서를 기다리지 못한다.
원인
- 도파민(dopamine)이나 노르에피네프린(norepinephrine)과 같은 신경전달물질의 감소
- 주의력 유지, 억제, 감정 및 동기 조절을 담당하는 전전두엽의 기능 저하
- 일란성 쌍생아에서 ADHD 일치율이 높고, 일반아동의 친척에 비해 ADHD 환아의 친척에서 ADHD가 더 많다는 것을 고려할 때 유전적 소인이 함께 작용하는 것으로 보임
검사 및 치료방법
부모와 환자의 임상 면담, 그리고 환자에 대한 직접 관찰이 가장 중요하며, 환자의 학교 또는 일상생활 기능에 대한 정보를 함께 얻어야 한다. 그 외 공존 정신과적 장애가 없는지, 내과적인 질환은 없는지, 그리고 환자의 사회적 및 가족력에 대해 함께 살펴보아야 한다. 필요에 따라 여러 가지 설문지를 이용할 수도 있으며, 심리검사와 전산화된 주의력 검사를 함께 시행해 볼 수 있다. ADHD의 경우 통합적이고 깊이 있는 치료계획을 필요로 하는데, 약물치료와 함께 부모 교육, 행동 치료, 사회기술훈련 등을 필요에 따라 시행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