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은 다양한 스포츠활동을 즐기는 분들이 늘어나면서, 스포츠 손상으로 통증과 염증을 호소하는 젊은 환자들이 많아졌습니다. 특히 팔을 많이 사용하는 운동을 할 경우 어깨 손상뿐 아니라 팔꿈치 통증으로 병원을 찾는 경우도 적지 않습니다. 그 대표적인 예가 바로 테니스를 즐기는 이들에게 흔히 나타나는 '테니스 엘보'입니다. 팔꿈치 바깥쪽 아프면 '테니스 엘보' 의심해야 테니스 엘보는 팔꿈치 바깥쪽에 통증이 발생하여, 관절염이나 인대 문제로 오해하기 쉽습니다. 하지만 이는 팔 근육 뭉치가 팔꿈치에 붙는 부위에서 문제가 생기는 질환입니다. 통증은 팔꿈치뿐만 아니라, 근육의 주행 경로를 따라 팔 전체로 퍼질 수 있습니다. 팔꿈치 안쪽에 통증이 있다면 '골프 엘보'라고 부르며, 이 역시 근육 뭉치가 팔꿈치 내측에 붙는 부위의 문제라 할 수 있습니다. 테니스 엘보를 의심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자가 진단 방법은 통증의 위치를 확인하는 것입니다. 팔꿈치 바깥쪽에 통증이 지속되고, 팔을 움직일 때보다는 팔을 사용할 때 통증이 더 심하게 발생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가만히 있을 때는 통증이 덜하지만, 무언가를 들거나 비트는 동작을 할 때 통증이 확연히 느껴진다면 테니스 엘보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안정이 최우선… 힘줄 끊어지지 않게 주의해야 팔꿈치에 통증이 생기면 휴식과 안정을 우선 취하는 게 중요하며, 원인이 되는 질환을 찾기 위해 병원을 방문해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보존적 치료, 초기 치료 방법으로는 주사 치료 및 체외충격파, 약물 처방, 도수치료 등이 있습니다. 초기에 적절한 치료를 받으면 수술까지 가는 경우는 극히 드뭅니다. 테니스 엘보의 주된 원인은 과사용, 즉 무리한 반복 사용입니다. 따라서 올바른 근육 사용법을 익히고, 평소 무리하지 않도록 주의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병원에서 물리치료나 도수치료를 받을 때는 올바른 팔꿈치 근육 사용법에 대한 설명을 듣고, 운동이나 활동 전에는 반드시 충분한 스트레칭을 통해 근육을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 질환을 오랫동안 방치하면 힘줄이 끊어지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증상이 심하지 않을 경우에는 비수술적 치료를 고려할 수 있지만, 일단 힘줄이 끊어지면 스스로 회복되지 않기 때문에 수술을 받아야 합니다. 테니스 엘보 수술 방법은 과거와 달리 많이 발전해 더 이상 크게 절개하지 않고 수술을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관절 내시경을 이용해 팔꿈치 관절의 내부를 들여다보면서 염증 조직을 뼈로부터 분비하고 심하게 발생한 염증조직은 제거하게 됩니다. 수술 부위 절개창이 작아 출혈도 적으며 합병증의 위험성도 줄고 회복이 빠른 특징을 보입니다. 환자마다 차이는 있겠으나 테니스 엘보와 골프 엘보가 동시에 나타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특히 팔을 많이 사용하는 직업군이나 활동을 하는 사람들에게서 흔히 볼 수 있습니다. 명칭 때문에 스포츠를 즐기는 사람들에게만 생기는 질환으로 오해하기 쉽지만, 실제로는 손을 많이 쓰는 주부나 요리사 같은 직업군에서도 자주 발생합니다. 테니스 엘보, 골프 엘보와 같은 팔꿈치 통증 질환들은 가급적 팔을 안 쓰는 게 좋겠지만, 일상생활을 하게 될 때 팔을 아예 쓰지 않을 순 없습니다. 따라서 통증을 유발하는 특정 동작을 인지하고, 그러한 동작을 줄이려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바르게 근육을 사용하는 방법을 익히고, 운동의 경우도 개인의 컨디션과 체력에 맞는 무리하지 않는 선에서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여기에 더해 운동이나 활동 전 매일 충분하게 스트레칭해 준다면 통증과 염증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