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일해 환자 수가 급증하는 가운데, 국내에서 첫 사망자가 발생했다. 2011년 국내 백일해 사망 사례 집계를 시작한 이후 처음 발생한 사망 사례다. 질병관리청은 생후 2개월 미만 영아가 기침, 가래 등의 증상으로 병원을 찾았다가 지난달 31일 백일해로 확인됐고, 이후 입원 치료를 받아오다가 증상 악화로 4일 사망했다고 12일 밝혔다. 사망한 영아는 백일해 1차 예방접종을 받기 전이었던 것으로 전해진다. 전 세계에서 유행 중…백일해 고위험군은? 올해 국내에서는 소아?청소년을 중심으로 백일해가 크게 유행하고 있다. 지난해 백일해 환자는 292명. 올해 들어서는 11월 첫째 주 기준 누적 3만 332명의 환자가 신고됐다. 지난해의 100배가 넘는 수치다. 최근 4주간 환자 수 변화 추이를 살펴보면 10월 둘째 주 1,152명, 셋째 주 1,560명, 넷째 주 1,795명, 11월 첫째 주 1,474명의 환자가 보고됐다. 연령별로는 13~19세가 45.7%, 7~12세가 42.0%로 소아?청소년이 전체 환자 수의 87.7%를 차지하고 있다. 0~6세의 경우 전체 환자의 3.3%로, 8월 이후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며 1세 미만 영아는 10월 초에는 주당 2~4명의 신고를 보이다가, 10월 말 12명까지 신고됐다. 백일해 유행은 비단 국내만의 문제는 아니다. 올해는 전 세계적으로 백일해가 유행하면서 사망자도 함께 보고되고 있다. 영국의 경우, 올해 9월까지 누적 13,952명 발생하였고 영아 10명이 사망했다. 프랑스에서는 올해 13만 명 이상 발생하였고, 35명의 사망자 중 소아가 22명인 것으로 집계됐다. 질병관리청은 백일해가 전 세계적으로 유행하는 지금, 감염 시 중증 합병증 발생 가능성이 가장 높은 위험군에 대한 보호가 필요함을 강조했다. 생후 12개월 미만 영아, 임신부, 영유아 돌보미(부모, 조부모 등), 면역저하자, 중등증 이상 만성 폐쇄성 폐 질환자가 백일해 고위험군에 해당한다. 생후 12개월 미만 영아는 빠짐없이 2?4?6개월에 적기 예방접종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 외 고위험군들도 올해 백일해 유행 상황을 고려해 백신 접종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 하이닥 산부인과 상담의사 권소영 원장(리즈산부인과의원)은 "최근 10년간 백일해 백신을 접종한 이력이 없는 경우, 임신 전?후에 접종을 받는 것이 권장된다"고 조언했다. 권 원장에 따르면 최근에는 백일해 단독 백신보다는 파상풍, 디프테리아, 파상풍 복합 백신인 'Tdap'을 접종하는 추세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우리나라에서 백일해 첫 사망자가 발생한 만큼 고위험군은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면서 "다가오는 동절기 호흡기 감염병 확산을 대비해 각 가정에서는 일상생활에서 손 씻기, 기침 예절 준수, 호흡기 증상이 있는 경우 마스크 착용 등을 철저히 할 것"을 당부했다. 놓치면 안 되는 백일해 증상...어릴수록 주의 백일해는 백일해균 감염에 의해 발생하는 제2급 법정 감염병으로, 콧물이나 경미한 기침으로 시작하여 '웁' 소리가 나는 기침이 발작적으로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발작성 기침 후에는 구토, 무호흡 등이 나타나기도 한다. 백일해 증상은 대개 6~8주에 걸쳐 나타난다. 백일해는 이처럼 기침할 때 튀어나오는 비말에 의해 전파되며,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면역력이 없는 집단에서는 1명이 12~17명을 감염시킬 만큼 전파력이 매우 강하다. 따라서 증상이 나타날 때는 타인에게 전염시키지 않도록 마스크 착용 등 전파 차단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 특히 콧물, 눈물, 경한 기침 등이 1~2주간 나타나는 '카타르기'에는 전염성이 가장 높으므로, 이 시기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백일해는 감염력이 강한 만큼, 빠르게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6개월 미만 영아는 무기폐, 기관지 확장증, 폐기종, 폐렴 등 합병증이 발생할 위험이 있고 드물지만, 뇌출혈, 탈장, 각혈 등이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1세 미만 영아 및 이들과 접촉하는 가족, 영아 돌봄 종사자는 빠르게 진단, 치료하는 것이 필요하다. 백일해로 진단받으면 증상 완화 및 전파 억제를 위해 항생제를 투여하며, 항생제 치료를 시작한 후 5일까지는 격리가 필요하다. 혹 치료를 받지 않는다면 최소 3주 이상 격리해야 한다. 도움말 = 하이닥 상담의사 권소영 원장(리즈산부인과의원 산부인과 전문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