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각종 연예프로그램에서 활동하며 웃음을 주고 있는 유명 뮤지션 김태원이 마음에 병이 든 아들이 있다고 고백하면서 화제 가 되었다.
자폐증인지 2년만에 알았다는 그는 지금도 아들과 대화할 수 있기를 꿈꾼다고 전하면서 눈시울을 붉혔다.
자폐증의 경과는 유아기 초기에 명확히 드러나는 경우도 있지만, 세 살이 지나도록 명확하지 않은 경우도 있는데, 초기에 정상적 으로 보였다
하더라도 점차 발달퇴행이 오는 경우가 바로 여기에 해당된다. 몸이 아프거나 심한 스트레스 등 다양한 외적 요소에 의해 자폐 정도가 유동적일 수
있기 때문에 특수 교육적 치료와 가정과 주변 및 치료진의 노력 경과가 매우 중요하다.
자폐증은 발달장애이지 정신병이 아니다.
자폐증의 주요 특징은 대인관계 회피, 심각한 언어발달 장애, 반복적인 괴이한 행동 3가지로 볼 수 있다. 즉 사회성이나 언어인지 행동발달
전반에 걸쳐 문제를 보이는 발달장애이지 정신질환이 아니다. 물론 치료가 어려운 장애에 속하기는 하지만, 조기발견으로 특 수교육 및 조기치료를
병행하여 좋은 효과를 볼 수 있으므로 절대로 포기해서는 안 된다. 그렇다면 자폐증인 경우 어떤 장애 증상이 있을까?
자폐증의 특성
(1) 언어발달과 의사소통의 심각한 장애
ㅇ 들리지 않는 것처럼 행동하여 귀가 먹지 않았나 의심하게 한다.
ㅇ 말이 늦거나 아직도 잘 못한다.
ㅇ 단어나 문장을 반복하거나 상대방이 하는 말을 의미 없이 반복 한다(반향어).
ㅇ 듣기는 하는데 말의 뜻을 모른다.
ㅇ 말 이외의 방법(손짓,몸짓)으로도 의사표현이 적다.
ㅇ 나이에 맞는 소꿉장난이나 놀이를 잘 하지 않는다.
(2) 반복적이고 상동적인 행동
ㅇ 한두 가지 물건에 집착한다(예. 고무줄, 연필 등).
ㅇ 작은 변화도 싫어하고 고집을 부린다(예 : 가구위치 변경 등).
ㅇ 몸을 반복적으로 움직인다(예 : 손이나 손가락 혹은 몸을 흔듬).
ㅇ 물건의 일부에 집착한다(예. 장난감 자동차의 바퀴).
ㅇ 장난감을 특이한 방법으로 가지고 논다(예 : 한 줄로 늘어 세움).
(3) 대인관계 형성과 사회성 발달의 장애
ㅇ 눈을 잘 마주치지 않는다.
ㅇ 엄마와 떨어져도 별 반응이 없다.
ㅇ 얼굴 표정이 없거나 사람을 보고 웃지 않는다.
ㅇ 또래와 같이 놀지 못하고 혼자 놀거나 또래에 관심이 없다.
ㅇ 자기가 좋아하는 것을 엄마에게 보여주거나 가리키는 행동이 없다.
ㅇ 자신의 몸이 다른 사람에게 닿거나 안기는 것을 싫어한다.
ㅇ '까꿍'놀이를 잘하지 않았다.
(4) 자폐아의 기타 특성
ㅇ 별것 아닌 것에 자주 놀라거나 두려워한다.
ㅇ 마땅히 놀랄 일에도 놀라지 않는다.
ㅇ 흉내를 내려 하지 않는다.
ㅇ 머리를 박거나 손목을 무는 등 자신을 해치는 행동을 한다(자해 행동).
ㅇ 텔레비전을 볼 때 선전만 좋아한다.
ㅇ 경기(간질)를 한다.
ㅇ 자기방어도 못하고 공격성이 부족하다.
ㅇ 어떤 자극에는 민감하고, 어떤 자극에는 둔감하다.
자폐증의 유아/아동기 증상
유아기(생후 1~2년 사이) 또는 아동기에 아래와 같은 증상을 보이면 소아정신과 전문의와 상담이 필요하다.
ㅇ 갓난아기 때 주위에서 얼러주어도 반응이 없고 눈맞춤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ㅇ 피부를 만지면 피하거나 불쾌해하고 피부의 긴장도가 낮아서 잡아당기면 비교적 길게 늘어나는 경우
ㅇ 정상 발달하는 아동에서 나타나는 낯가림도 없고, 도리도리, 짝자꿍, 곤지곤지 등의 모방놀이가 전혀 안 되는 경우
ㅇ 옹알이도 거의 없고 목소리의 톤이 높으며, 언어 모방도 없고 몸짓이나 표정 등으로 자기 의사를 표현하는 일도 관찰할 수 없 는
경우
ㅇ 사소한 물건에 집착해서 손에 쥐고 놓으려 하지 않으며, 억지로 뺏으면 달랠 수 없을 정도로 울며 소리지르는 일이 흔한 아동
ㅇ 새로운 것에 대한 거부반응이 심해서, 새 옷을 입지 않으려고 하고 처음 보는 음식은 전혀 손도 안 대며, 처음 가는 장소나 길 을 가지
않으려고 하는 아동
ㅇ 장난감을 가지고 놀 때 장난감의 기능과는 무관한 방식으로 부분에 집착해서 가지고 노는 아동
ㅇ 엄마와 떨어져도 반응이 없고 돌아왔을 때도 반기지 않는 경우, 엄마를 특히 좋아하지도 않는 경우
방송에서 김태원씨는 장애 가족을 바라보는 사람들의 시선이 너무 아팠다고 고백했다. 앞서 언급한 대로 자폐증은 비단 본인과 가족의
노력만으로는 나아지기가 어렵다. 자폐증은 우리 모두의 이웃사랑이 절실함을 자각하고, 더 이상 아픈 시선이 아닌 용기를 주 고 배려할 수 있는
따뜻한 시선을 보낼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건강을 위한 첫걸음 - 하이닥 (www.hidoc.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