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도시화,
핵가족화, 개인주의, 과도한 스트레스 등의 사회 환경과 생물학적 요인으로 인해 우울증이 급증한 가운데 여성이 남성에 비해 우울증에 2배 이상
취약한 것으로 조사됐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2005~2009년 우울증에 대한 심사결정자료를 분석한 결과, 우울증으로 진료를 받은 사람 및 진료 비용이 각각 연평균
4.0%, 10.4% 증가했다.
우울증으로 진료를 받은 사람은 2005년 43만5,000명에서 2009년 50만8,000명으로 약 7만3000명 증가했다. 즉, 연평균 약
1만8,000명씩 증가한 셈이다.
강동성심병원 한창환 정신과 과장은 “최근 사회 환경과 생물학적 요인으로 인해 우울증이 급격한 증가를 보이고 있다"면서 "우울병에
대한 사람들의 편견도 줄어 병원 접근이 용이해진 이유도 우울증의 증가 사유로 볼 수 있다”고 분석했다.
특히, 성별 분석결과 최근 5년동안 여성이 남성보다 약 2.2배 더 많은 것으로 확인됐다.
또한 우울증 진료인원의 연평균 증가율도 남성이 2.6%, 여성이 4.7%로 여성이 더 높게 나타났다.
연령별 분석결과, 우울증은 40세 이상의 중년 및 고령층에서 주로 나타났다.
2009년을 기준으로 50~59세가 19.6%로 가장 높았으며, 60~69세 18.1%, 40~49세 17.6%로 40세 이상의 연령구간이
전체의 55.3%를 차지했다.
연령별로 연평균 증가율을 분석한 결과 70대 이상이 13.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특히, 20~60대가 약 5% 미만의 증가율을 보인데 반해 10~19세의 청소년에서는 8.2%의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20대 미만에서는 남성이 높거나 성별에 거의 차이가 없었지만 20대 이후에는 여성이 남성보다 2.4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 차이가 가장 큰 구간은 30~39세로 여성이 남성보다 2.5배 많았다.
한창환 과장은 "여성들은 임신, 분만, 폐경기를 겪는 동안 호르몬 변화로 인해 더 쉽게 우울증에 걸리게 되고 양성평등이 이루어 졌다고 해도
심리사회적으로는 여전히 스트레스가 많고, 참고 견디는 것이 미덕인 것으로 여겨지는 경향들이 많아 이런 억압된 감정들이 우울증상으로 표출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여겨진다"고 설명했다.
이어 "남성들은 명예퇴직, 감원 등 사회적 압박으로 우울증이 오는 경우가 많은데 자존심 때문에 치료받을 시기를 놓치거나 술로 해결하려는
경향이 있다"고 경고했다.
우울증을 효과적으로 극복하기 위해서 한창환 과장은 "우울증은 정신과 약물치료로 좋은 효과를 가져 올 수 있으므로 적극적 치료를 받아야
하며, 약물 치료와 더불어 정신치료, 인지치료 등 심리사회적인 면들을 개선시켜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이러한 치료들은 단기간에 효과가 나타나는 것이 아니므로 여유를 갖고 일상생활에 적응하도록 노력하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우울증은
입증된 예방법은 없으나 술이나 불법적 약물은 우울 증상을 악화시키므로 피해야 하며 신체적 활동과 운동이 우울 증상을 감소시키므로 걷기, 조깅,
수영 등 자신이 즐길 수 있는 운동을 할 것을 권장한다"고 설명했다.
건강을 위한 첫걸음 - 하이닥 (www.hidoc.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