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내 기생충이 국내에서 다시 증가 추세를 보이면서 기생충 감염도 증가된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대한내과학회지 최근호에서 삼성서울병원 내과 이준행 교수 연구팀이 2000~2006년 사이 건강검진을 처음 받은 7만8073명(평균나이
49.4세)을 대상으로 분변 내 기생충 양성률을 조사한 결과에서 확인됐다.
연구팀은 장내 기생충 양성률이 2000년 2.51%에서 2001년 2.63%, 2002년 3.56%, 2003년 4.04%, 2004년
4.48%, 2005년 3.94%, 2006년 4.45% 등으로 전체적인 증가세를 보였다고 설명했다. 7년 동안 기생충 유병률이 1년에 평균
1.15배씩 증가한 셈이다.
분변 내 기생충은 회충, 편충, 간흡충, 요코가와흡충, 광열열두조충, 왜소아메바, 대장아메바, 람블편모충, 이질아메바 등 총 9종이었다.
특히 이들 가운데 흡충에 속하는 간흡충과 원충인 왜소아메바가 크게 늘었다. 간흡충의 경우 양성률이 2000년 0.45%에서 2006년
1.4%였다. 왜소아메바 양성률도 2000년 1.23%에서 2005년 2.29%로 증가했다.
연구팀은 이처럼 간흡충이 증가한 것은 기생충에 대한 경각심이 낮아진데다 감염원인 참붕어, 모래무지 등의 담수어를 생식하거나 덜 익혀 먹는
경우가 많고, 먹는 구충제도 주로 장내 선충에만 작용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했다. 왜소아메바는 분변이나 사람간 접촉, 오염된 식수 등을 통해
감염이 늘었을 것으로 추정됐다.
토양매개성 기생충으로 알려진 회충의 경우, 2000년엔 전혀 검출되지 않았지만 2006년에는 0.01%의 양성률을 보였다. 편충도
0.01%에서 0.72%의 양성률을 보였지만 편차가 크지는 않았다.
지역별 기생충 양성률을 보면 부산, 울산, 경남 지역 거주자가 2000년 3.63%를 기록한 것을 제외하고 매년
최고수치(6.15~10.41%)를 나타냈다. 서울, 인천, 경기, 대구, 경북 지역도 의미 있는 증가세를 보였다.
이준행 교수는 "기생충 감염을 과거의 질병으로 생각해 가볍게 여기는 경향이 있지만, 생활양식의 변화에 따라 과거에는 중요시하지 않던 기생충
감염이 늘고 있다"면서 "간흡층과 왜소아메바 등 치료를 필요로 하는 기생충질환 예방을 위한 대국민적 교육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최근에는 장내 기생충 검사를 위해 대변을 채취해 오라고 해도 이를 따르지 않는 검진자들도 꽤 있는 편"이라며 "하지만 기생충이
장내에 서식할 경우 체중감소와 영양장애는 물론 심하면 복통으로 이어질 수 있고, 머릿니와 요충 등의 체외 기생충도 다시 느는 만큼 기생충 감염에
대한 경각심을 늦추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건강을 위한 첫걸음 - 하이닥 (www.hidoc.co.kr)